본문 바로가기
정책

청년 대중교통비 지원 내용 기간 방법 서울 경남

by 탈출키 2024. 3. 27.

현재 국내에는 다양한 대중교통비 지원 사업이 나오고 있습니다.

오늘은 그중에서 청년 대중교통비 지원 사업 관련 내용을 소개해 드리려고 합니다.

청년 대중교통비 지원이란 무엇인지에 대해 알아보고, 지원 내용, 신청 기간 및 방법 등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세부적으로는 지원 대상 및 금액, 지급 시기, 구비 서류 등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청년-대중교통비-지원-소개

 

청년 대중교통비 지원 내용 기간 방법

1. 청년 대중교통비 지원

청년 대중교통비 사업은 대학생, 사회초년생, 청년 등의 대중교통비 부담을 덜어주기 위하여 만 19세~24세의 청년을 대상으로 선불교통카드 사용액을 지원하는 사업입니다.

이 사업은 서울에서 시작하여 진행하던 사업이었습니다.

하지만 기후동행카드 등 다른 사업으로 대체되면서 서울시에서는 더 이상 진행하고 있지 않습니다.

그러나 경상남도에서는 계속 지원을 하고 있습니다.

경남 청년 대중교통비 지원 사업은 경상남도에 사는 만 19세~24세 청년들의 교통비를 지원하는 사업입니다.

학력이나 취업유무에 상관없이 나이와 거주지 조건만 충족하면 됩니다.

 

2. 지원 내용

경남 대중교통 요금은 시내버스 기준 1,000원에서 1,500원으로 금액이 올랐습니다.

이번 지원은 2024년 1월~6월 선불형 교통카드 사용한 금액 중에 이 증가분의 50%를 캐시백을 해주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2024년 1월~6월 동안에 시내버스를 한 번 이용하면 500원의 50%인 250원을 지원하는 내용입니다.

경남 시내버스 및 농어촌버스, 경전철 (김해~부산), 지하철 (양산~부산) 요금을 지원합니다.

단, 타 시도를 경유할 시, 도내 지역에서 승차 또는 하차 기록이 있어야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지원 대상

1999년~2005년에 출생한 사람 중 경상남도에 주민등록상 주소를 두고 있는 청년이면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지원 금액

2024년 1월~6월 사용한 금액 기준 월 만원씩 최대 6만원까지 지원합니다.

지급 시기

2024년 7월~8월에 신청 시 입력한 계좌로 지원금을 지급할 예정입니다.

이때 계좌는 본인명의 계좌여야 합니다.

 

3. 신청 기간

2024년 3월 5일 9시~4월 30일 18시에 신청할 수 있습니다.

 

4. 신청 방법

구비 서류

행정정보이용 동의 여부에 따라 다릅니다.

  • 신청자가 행정정보이용을 동의할 경우에는 주민등록초본을 제출할 필요가 없습니다.
  • 신청자가 행정정보이용을 미동의할 경우에는 주민등록초본을 발급받아 경상남도 청년정책과에 제출합니다. 주민등록초본은 현주소, 성명, 생년월일 내용이 필요하며, 주민등록번호 뒷자리, 주소변동이력, 병력사항 정보는 필요하지 않습니다.

온라인 신청 방법

경남 청년 대중교통비 지원 사업은 경남바로서비스 사이트에서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온라인으로 신청하시기 전에 미리 선불 교통카드를 준비하시길 바랍니다.

  1. 경남바로서비스 사이트에 접속하여 경남 청년 대중교통비 지원 사업을 클릭합니다.
  2. 경남도청 사이트에 회원가입이 되어 있으면 로그인을 하면 되고, 회원가입이 되어 있지 않을 시 가입을 한 뒤 로그인을 합니다.
  3. 행정정보공동이용동의서에 동의합니다.
  4. 비대면 자격검증을 확인합니다.
  5. 거주민행정 코드 내 주민자격여부에 성공이 되어있는지 확인합니다.
  6. 개인정보를 입력하여 신청서를 작성합니다.
  7. 약관 동의를 합니다.
  8. 신청이 완료되었습니다.

신청내역 확인 방법

  1. 경남바로서비스 사이트에 접속하여 로그인합니다.
  2. 마이페이지를 클릭합니다.
  3. 서비스 신청 내역 확인을 클릭합니다.
  4. 경남 청년 대중교통비 지원 사업을 확인합니다.

 

지금까지 청년 대중교통비 지원 사업 관련 내용을 알아보았습니다.

우선, 청년 대중교통비 지원 뜻을 알아보았습니다.

다음으로는 지원 대상, 금액, 지급 시기 등 지원 내용을 알아보았고, 신청 기간에 대해 살펴보았습니다.

마지막으로는 신청하기 위해 필요한 서류, 신청 방법 등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현재 경남에서 신청을 받고 있으니 해당 지역에 거주하시고 대상이 되시는 분들은 신청해 보시길 바랍니다.

반응형